top of page

아시아의 중고시장 급성장: 리세일 트렌드를 해부하다


▶ 왜 아시아에서 중고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나는가?

  1. MZ세대의 강력한 지지※ TikTok, YouTube, Instagram 등 SNS 기반의 절약과 지속가능성 트렌드

  2. C2C(소비자 간 거래) 모델로의 전환※ 소비자가 직접 거래하는 방식이 주류로 자리잡음, 중간 유통 제거

  3. 지역 커뮤니티 기반 신뢰 모델의 부상※ 플랫폼이 지역성과 신뢰를 UX 설계에 반영함

  4.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적 배경 요인※ 환경 의식, 가성비 추구, 독창성 선호 등 다양한 동기

  5. ESG 트렌드와 맞닿은 가치소비 확산※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환경과 경제를 모두 고려한 소비 방식 확산

    Revenue Growth in 2023
    Revenue Growth in 2023

▶ 주요 플랫폼 UX 특징 비교

플랫폼 이름

국가

UX 특징

메르카리 (Mercari)

일본

전국 배송, 개인 이력 기반, 심플한 UI 디자인

캐러셀 (Carousell)

싱가포르

채팅 중심 거래, 가격 협상 용이, 유연한 분류 구조

당근마켓

한국

GPS 기반 매칭, 지역 커뮤니티 UX, 이웃 기반 신뢰 형성

셴위 (Xianyu)

중국

알리바바 생태계 통합, 과거 구매내역 기반 소유 증명 일부 가능

▶ 수익모델 비교

플랫폼 이름

주요 수익원

수익 방식

2023년 연매출

메르카리

거래 수수료

판매자에게 10% 수수료 부과

$1.192B

캐러셀

UX + 광고

광고, 프리미엄 노출, B2C 제휴

$116M

당근마켓

지역 광고

지역 광고, 사용자 모집, 커뮤니티 기반 수익화

$94.6M

셴위

생태계 통합

알리바바 내 통합 서비스 (매출 비공개)

비공개

▶ 결론 및 향후 전망

아시아의 중고거래 플랫폼은 단순히 절약을 위한 도구를 넘어, 지속가능성과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문화와 기술적 전환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환경 인식이 높아지고, 디지털 도구가 발전함에 따라 앞으로 다음과 같은 흐름이 예상됩니다:

  1. 순환형 상거래 인프라 확장: 물류, 보험, 디지털 보증 등의 기능이 플랫폼에 직접 통합될 것

  2. B2B 연동과 API 확장: 주류 플랫폼이 제3자 인증, 구매자 보호, 기업용 재판매 솔루션을 도입할 가능성

  3. 국경을 넘는 중고거래의 혁신: 현지화, AI 번역, 사기 방지 및 분산 인증 도입을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간 무결점 거래가 가능해질 것

중고거래는 더 이상 틈새 시장이 아니라, 아시아가 이끄는 새로운 상거래의 중심축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Commentaires


bottom of page